독서/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

[혼공네트] 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 3주차

gunny_ 2024. 7. 20. 11:19

Ch.03(03-1) 확인 문제 1번(p.147)

IPv4 대표적인 기능 두가지 고르기

- IP주소 지정 2

- IP 단편화 3

 

(03-3) 확인 문제 2번(p.187) 풀고 설명하기 -- 정보처리기사 당골문제...! 

라우팅 프로토콜과 관련하 아래 설명을 읽고 옳은 것을 골라보세요.

라우팅프로토콜은 AS 내부에서 수행되는 [IGP]와 AS 외부에서 수행되는 [EGP]로 나뉩니다.

[RIP] 대표적인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이고, [OSPF]는 대표적인 링크상태 라우팅 프로토콜입니다.

 

본인 컴퓨터의 IP 주소와 MAC 주소 파악해 보기

윈도우 pc 사용 시, cmd 창에서 ipconfig로 IP 주소를 찾아볼 수 있다.

IPv4주소로 172.30.1.11을 사용하고 있네요.

 

MAC주소는 cmd창에 ipconfig /all를 입력 후, 물리적 주소로 찾을 수 있다. (IP주소도 ipconfig/all로 찾을 수 있음)

 

 

이렇게 찾다 보니, 최근에 진행 했던 개발 작업 중, 마약류 투약이력 조회 팝업 기능을 개발 했는데,

IP 등록 요청 하는 부분

 

병원에서 고정 IP 사용 시, 따로 NIMS라는 사이트에 등록을 해줘야 하는 케이스가 있었습니다. 책에서 p159에서 나왔 듯이, IPv4에서는 사설 IP 주소가 나오기 때문에, 실질 적으로 해당 개발을 위한 테스트를 진행하려고 하면, ipconfig에 나온 IPv4정보가 아닌, 공인IP 주소를 등록해 줘야 하는데, 회사 내부망에서 부여된 정적 IP 주소를 등록했다가, 의도된 대로 동작이 안되어 개발이 지연된 경험이 생각납니다. 간단한 개념인데, 좀더 일찍 혼자네를 봤다면 개발할 때 지연 없이 빠른 테스트가 가능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개발자가 개발만 하면 되는게 아닌, 기본적인 네트워크 지식이 있으면 업무 능률 향상에 기여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